서울에서 사업을 하는 권모(52)씨는 최근 토론토지역의 60만 달러 주택을 물색하고 있다.
유학생인 자녀(아들, 딸)를 위해 집을 사기로 결심한 것이다.
이민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권씨는 정착에는 대도시가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해외부동산 투자의 길이 열림에 따라 한국에서의 캐나다 주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전문가들에 따르면 인구밀도가 높고 한인들이 몰려있는 광역토론토가 선호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홈라이프 한인부동산센터의 유웅복 대표는 5일 “경제활동, 노후대책, 자녀교육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도시로 토론토가 꼽히고 있다.
미국 대도시들과 가깝게 연결되고 고용 및 주거환경이 좋아 주택은 물론 임대용 상가 문의도 꽤 늘었다”고 말했다.
센츄리21 부동산의 오양환씨는 “광역토론토지역에 대한 한국에서의 문의전화가 부쩍 증가했다.
하반기가 되면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될 조짐이다”며 “토론토는 정치, 경제적으로 안정돼 있고 미국 같은 테러위험도 없어 투자에 적합한 지역이라는 것을 한국에서도 알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정부의 정책변화에 대한 의구심이 선뜻 투자를 망설이게 하고 있지만 향후 동포사회 경제 활성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덧붙였다.
지난 4일 재정경제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개인의 주거용 해외 부동산 매입은 99건, 3334만(이하 미화) 달러에 이른다.
작년 한 해 27건, 873만 달러어치였던 것과 비교할 때 3개월 동안 매입 건수는 3.6배, 금액은 4배 정도 늘어난 것이다.
작년 12월 3건에 불과했던 주거용 해외 부동산 매입이 올해 1월 13건, 2월 36건, 3월 50건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미국이 44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캐나다(26건) 중국(14건) 일본 태국(각 3건) 순이다.
올해 들어 정부가 달러 수요 확대로 원화 강세를 막기 위해 2년 이상 거주 목적만 있다면 비싼 해외 주택이라도 제한 없이 살 수 있게 하고, 귀국하면 3년 내에 해당 주택을 팔아야 한다는 규정도 없앴기 때문이다.
또 한국은행에 신고해야 하는 규정도 없애 그동안 음성적으로 이뤄졌던 거래가 양성화된 측면도 크다.
정부의 1가구 다주택 보유자에 대한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어 여유자금으로 해외에 주택을 구입하는 수요도 점차 늘고 있다.
올해 1분기에 해외 부동산 매입 명목으로 신고한 평균 금액은 33만7000달러였다.
하지만 대부분 현지에서 모기지를 얻어 구입하기 때문에 50만∼100만 달러짜리 고가 주택도 많이 매입하는 것으로 재경부는 보고 있다.
내년 이후 개인의 투자용 부동산 매입 규제까지 풀리면 해외 부동산 매입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료: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