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민 증대’ 중지 모을 때 비즈니스 큰 타격, 공관 등 적극 나서야

한인비즈니스가 갈수록 힘들어진다는 소리가 커진다. 국내 경제 회복속도가 더딘 데다 최근 들어서는 부동산경기까지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신규 이민자들도 크게 줄어 한인경제는 3중고에 시달린다. 신규 이민자는 2000년대 초 만해도 연간 7천~8천 명 수준이었지만 3~4년 전부터 2천 명 선으로 급감했다. 게다가 역이민자는 2005년 이후 매년 10% 이상 늘어나 작년에는 1천여 명에 이르는 등 한인인구가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다. 신규 이민자가 급감한 이유는 한국이 살기 좋아져 이민행렬이 줄어든 탓도 있지만 연방보수당정부의 이민정책 ‘U턴’도 큰 몫을 했다. 연방정부는 올해 들어서만 2008년 이전 기술이민 신청 무효와 투자이민 자격강화 등 기존 이민정책의 근간을 바꾸는 ‘개혁안’을 잇달아 발표했다. 특히 이민개혁안은 ‘영어를 잘하는 젊은이’들을 우선적으로 배려하기 때문에 한국은 ‘직격탄’을 맞은 격이다. 한국은 캐나다이민을 원하는 나라들 중 일본과 함께 ‘영어를 잘 못하는’ 대표적 나라로 꼽힌다. 한인경제가 살아나려면 이민자가 계속 들어와야 하는데 정책 변경으로 쉽지가 않다. 그렇다고 강 건너 불 보듯 팔짱만 끼고 있을 때도 아니다. 자칫하면 한인들을 상대로 하는 커뮤니티 사업체들이 벼랑 끝에 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우선은 한국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움직여주기 바란다. 조희용 주캐나다대사는 지난달 본보와 인터뷰에서 “조만간 제이슨 케니 이민장관과 만나 이민정책에 대한 한인사회의 우려를 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 대사는 연방보수당의 실세인 케니 장관과의 회동에서 특히 영어문제를 집중 거론해주기 바란다. 기술이민의 경우 언어능력은 100점 만점에 28점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절대적이다. 토론토한인회 등 한인단체들도 이민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구감소’는 한인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인회는 툭하면 “한인권익 향상”을 부르짖는데 ‘경제 살리기’만큼 권익을 향상시키는 일도 없다. 한인회 주도로 여러 경제단체들과 함께 커뮤니티 차원의 ‘대책위’를 만드는 등 중지를 모을 때다. 현대·기아차 신뢰회복 총력을 현대·기아자동차가 북미에서 판매하는 자동차 연비를 과장되게 표기했다가 소비자들에게 거액을 물어주게 됐다. 두 회사는 미국환경보호청(EPA) 검사 결과에 따라 2011~2013년 모델 13종의 연비를 평균 27MPG(갤런당 마일)에서 26MPG로 낮춰 새로 표기했다. 그간 리터당 주행거리를 실제보다 평균 0.4km 정도 부풀려 표기한 잘못을 인정한 것이다. 수정된 연비를 반영하면 현대·기아차 북미 판매 차종의 평균 연비는 3% 정도 떨어지게 된다. 현대·기아차는 즉각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하고 소비자 보상계획을 발표했다. 배상금은 107만 대(미국 90만 대, 캐나다 17만 대) 기준 약 1억 달러로 추산된다. 배상금보다 다 큰 문제는 소비자 신뢰 하락이다. EPA가 벌금을 물리고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가 과대광고 조사에 나서면 사태가 더 악화될 수도 있다. 캐나다에서는 이미 소비자 집단소송이 제기됐다. 도요타자동차의 리콜사태에서 보듯 북미시장은 소비자 권익이나 안전을 침해하는 제조회사의 작은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다. 두 회사가 EPA 조사에 앞서 제기된 소비자 민원에 적극 대처했더라면 사태가 이토록 확대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80년대 ‘일제 모방품’ 소리를 듣던 현대·기아차는 품질 경쟁력을 크게 강화해 세계 4위의 자동차회사로 성장했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미국시장에서 100만 대 넘게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다. 캐나다에서도 작년 도요타를 제치고 ‘외국차’ 가운데 사상 처음으로 1위로 오르는 등 그간 승승장구했다. 현대·기아차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북미와 유럽시장에서 받는 견제도 강해지고 있다. EPA는 “현대·기아의 연비에 대한 소비자 민원이 제기돼 조사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EPA가 연비 조정을 명령한 것은 두 차례에 불과하고 모두 단일모델에 한정된 사안이었다. 이번처럼 특정 자동차회사를 타깃으로 한 대규모 조사는 없었던 만큼 미국자동차시장 보호를 위한 견제심리가 작용한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 하지만 ‘보호주의’로만 돌릴 일도 아니다. 공인 연비는 실제 주행을 해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실 데이터로 추산한다. 어느 나라나 도심지역의 주행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모의 주행모드로 측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저항값을 현지상황에 맞게 설정하지 않아 오류가 생겼다는 게 현대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평균 연비가 리터당 400m 넘게 차이가 난다는 점은 납득하기가 쉽지 않다. 현대·기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북미에서 연비가 좋으면서도 가격은 합리적인 차라는 점을 내세워 대성공을 거뒀다. 최악의 경우 ‘연비를 과장한 차’라는 인식이 퍼진다면 도요타 같은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만큼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조치가 따라야 한다.